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은 만 나이 계산기 이용 방법 및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는 포스팅을 준비했는데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적인 표준 셈법이며 이는 사람의 나이를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같은 학급이라고 할지라도 각자의 생일과 날짜에 따라 나이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일이 2월인 아이와 5월인 아이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2월인 아이는 5월인 아이보다 1살이 많다고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법원의 공소장, 관공서 또는 병원, 약 처방전을 보면 만 나이로 표기되어 있는 걸 종종 볼 때가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세는 나이의 셈법이 혼용되고 있는 상태인데요.
단속의 근거도 없는 상태라 상용화되기가 어렵고 사회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런 부분이 정리가 덜 된 상태라서 혼선의 문제가 매년 양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렇지만 상황에 따라 면밀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고 철저하게 체크해봐야 될 일이 생길 수도 있는데 현재 만 나이가 적용되고 있는 예로 투표, 운전면허증 취득, 아르바이트 및 취업, 군대 입영, 9급 공무원 지원 등의 경우 만 18세 이상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나이를 따져봐야 될 때가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만 나이를 정확히 알아보는 방법과 관련 정보를 간단히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할 테니 이 내용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거예요.
예를 들어 1990년 10월 1일에 태어났고 현재가 2021년임을 봤을 때 세는 나이로는 32살이지만 알려진 산출 방법이 정해져 있는데 계산 공식은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것입니다.
2021-1990을 계산하면 31이 나오게 되는데 이게 만 나이가 되는 것이지만 이 경우 오늘의 날짜는 9월 5일이고 아직 생일을 보내기 전이기 때문에 -1을 빼주셔야 돼요.
그러므로 아직 생일을 맞이하기 전일 땐 현재 나이가 만으로 30세가 되는 걸로 이해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더라도 뭔가 복잡하고 헷갈린다면 만 나이 계산기를 이용해보는 것도 좋은데 다른 검색 포털에서도 가능하지만 N사 포털의 인터넷 검색창을 열고 '만나이 계산'을 입력 후 찾으면 달력정보가 나오는 걸 볼 수 있을 거예요.
주민등록의 출생일을 직접입력하거나 달력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참고로 60갑자는 음력으로 계산되며, 날짜계산은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60갑자란? 10간(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과 12지(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를 의미함.
예를 들어 1990년 10월 1일에 태어났다고 가정했을 때 출생일 입력란에 '19901001'을 입력하면 기준일은 오늘 날짜로 자동 설정될 것이므로 이때 [계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결과에서 만 30세라고 표시되고 말띠로 띠까지 알려주는 걸 볼 수 있을 것이며, 생일 날짜를 기준으로 봤을 때 만 나이가 1살 더 먹는 31세가 되기까지 25일이 남은 걸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살아가다 보면 직장이나 시험에 응시할 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상에 포함되거나 지원금 지급 등의 대상을 선정할 때 나이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땐 법률적인 표준 셈법인 만 나이로 기준을 정하기 마련이니 알려드린 방법을 참고하면 앞으로는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만 나이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
부디 이 내용이 알차고 유익한 정보가 됐길 바라겠고 앞으로도 도움이 되는 최신 소식을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감 하트(♥) 또는 SNS 등 다른 채널에 공유하거나 퍼가는 것은 괜찮지만 무단으로 허락 없이 내용이나 사진을 복사하여 사용할 경우 적법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니 이런 부분은 주의해 주시고 보답해준 모든 분들께 진심을 다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