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은 프린터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는 정보 포스팅을 준비했는데 집 또는 학교, 회사 등에서 작업을 할 때 필요에 따라 프린터나 복합기 장치를 이용해야 될 때가 있을 텐데 간혹 컴퓨터나 공용 인쇄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네트워크 연결을 다시 설정해야 돼서 당황스럽고 난감했었던 적이 있을 것입니다.
보통 PC를 포맷했거나 본체 교체하게 되면 다시 연결을 해줘야 되는데 어떻게 설정해야 되는 건지 자세히 모르고 과정이 헷갈리거나 헤맬 수 있는데요.
그렇지만 알고 보면 간단한 방법으로 다시 공유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지금부터 알려드릴 내용을 참고해 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선 PC 화면 우측 아래에 있는 작업 표시줄을 보면 인터넷 액세스의 신호 표시가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우클릭을 해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열기]를 선택해 주세요.(윈도우 10은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진입할 것)
공유센터 창이 열리면 좌측에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이 있으니 누른 다음 네트워크 검색에서 네트워크 검색 켜기에 체크하고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를 누릅니다.
그다음 공용 폴더 공유에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가 공용 폴더의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도록 공유 켜기 항목에 체크를 해주세요.
이제 제어판으로 들어가면 여러 가지의 항목이 보일 텐데 보기 기준을 범주로 설정한 상태에서 하드웨어 및 소리 밑에 있는 [장치 및 프린터 보기]를 클릭합니다.
프린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장치 및 프린터의 창이 열리면 위에 프린터 추가 항목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설치할 프린터 유형 선택으로 로컬 프린터 추가와 네트워크, 무선, 또는 Bluetooth 프린터 추가 중에 선택하면 되는데 아래를 선택합니다.
이제 잠시만 기다리면 사용 가능한 장치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항목에 있을 경우 선택해서 진행을 하면 되겠고 없을 경우 '원하는 프린터가 목록에 없습니다'를 눌러 다른 방법을 찾으세요.
이름 또는 TCP/IP 주소로 프린터 찾기를 해볼 수 있는데 맨 아래에 있는 TCP/IP 주소 또는 호스트 이름으로 프린터 추가를 체크해 줍니다.
다음으로 장치 유형을 TCP/IP 장치로 변경하고 호스트 이름이나 IP 주소에 아이피를 입력하면 되는데 만약 IP 정보를 모르고 있는 상태라면 프린터 설정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소를 정확히 입력했다면 자동적으로 프린터의 이름이 뜰 것이며 드라이버 설치를 하시면 돼요.
그런데 이렇게 프린터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자동으로 드라이버 설치가 안될 경우에는 관련 제조사 사이트를 검색해서 들어가 사용하고 있는 모델명 검색 후 수동으로 다운로드를 해주도록 합니다.
최종 단계로 프린터 공유 창이 나오게 될 텐데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했기 때문에 별도로 공유 이름을 만들 필요는 없으며 성공적으로 추가를 했을 때 테스트로 페이지를 인쇄해 보라고 나올 테니 출력이 잘 되는지 시도를 해보면 될 거예요.
힌 번 더 확실하게 확인을 하고 싶다면 제어판을 통해 장치 및 프린터로 다시 들어가서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보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과정을 거쳐 다시 연결할 수 있으니 시도해 보면 될 것이며 이상 프린터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간단히 알려드린 포스팅을 마치겠고요.
언제나 최신 정보를 제공을 위해서 노력하겠으며 아무쪼록 이 내용을 보신 후 도움이 됐다면 공감 하트(♥) 또는 SNS, 다른 채널에 공유하시거나 퍼가도 되지만 허락 없이 무단으로 글을 복사하는 행위는 적법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니 삼가주시고 보답해 준 모든 분들께는 감사의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