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은 에버노트 해킹, 의심스러운 활동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정보성 포스팅을 준비했는데 종종 Evernote에 평소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기기로 접근을 시도한 이력을 확인하게 되는 일이 발생할 때가 있고 사용 경험이 전혀 없는 기기의 접근 이력이었다면 분명 누군가가 해킹 시도일 것입니다.
해당 앱은 누군가와의 약속이나 진행할 예정인 일정을 기록하기도 하고 때론 상황에 따라 일기장이나 소소한 메모 등을 하여 자신만의 소중한 추억을 남길 수 있기에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어 참 좋은데 무엇이든지 쉽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은 그에 대한 피해를 부담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자신이 사용한 이력과 함께 사용할 일이 없는 기기의 접근 시도를 확인하려면 상단에 있는 프로필을 눌러 [설정]을 선택한 후 좌측의 메뉴 중에서 [접근 이력]을 누르면 기록을 조회할 수가 있어요.
다행히도 접근을 시도한 이력만 있었고 해킹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였고 혹시라도 우려스러운 일이 생길지도 몰라 2단계 인증을 설정하여 관리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처음으로 이러한 일을 겪게 되어 정말 깜짝 놀랐고 해킹을 시도한 시간에 분명히 다른 일을 하고 있었다는 걸 기억하기에 조금 섬찟한 기분이 들기도 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저와 같은 일을 경험하여 당황스러웠던 분들을 위해 새로운 로그인 감지 및 해킹 시도에 대한 대처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안을 좀 더 강화하고 싶으신 분들은 귀찮겠지만 다음 설명하는 내용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적용 및 설정을 변경해 보시길 바랍니다.
일단 프로필에서 [설정]을 선택한 다음 좌측 메뉴 중 '장치'를 누르고 자신이 등록하지 않은 다른 장치가 있을 경우 [엑세스 취소]를 눌러 제거하도록 합니다.
이어서 에버노트 해킹 예방을 위해 좌측의 메뉴에서 [보안 요약]으로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이메일주소, 비밀번호, 2단계 인증, 계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비밀번호 변경]을 눌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패스워드를 변경합니다.
영문과 숫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로 바꿔주고 비밀번호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이 나오면 아래 [확인]을 누릅니다.
사용하고 있는 비밀번호를 변경한 후 마지막으로 계정의 보안 상태를 좀 더 강화시킬 수 있도록 2단계 인증에서 [사용]을 눌러주세요.
2단계 인증을 사용하게 되면 어느 Evernote 앱에 로그인을 하든 비밀번호와 인증 코드를 모두 입력해야 하며 인증에 필요한 코드는 문자나 인증 앱을 통해 모바일 장치로 전송됩니다.
참고로 최신 버전만 2단계 인증을 지원하고 있으며 계속하기를 원한다면 버전 업데이트를 확인한 후 앱을 실행해 주어야 합니다.
단계를 진행하면 기억할 중요 사항을 볼 수 있을 테니 내용을 살펴보신 후 아래 [계속]을 누릅니다.
화면이 이동하면 이메일 주소 인증 단계가 나오는데 2단계 인증을 위해 올바른 이메일 주소가 필요하므로 [확인 이메일 보내기]를 눌러주세요.
아래에 표시된 이메일 주소가 잘못되었을 경우 취소를 클릭하고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소를 변경해 주도록 합니다.
확인 이메일이 전송되었다고 하면 이메일에 기재된 링크로 이동을 하거나 아래에 확인 코드를 입력하면 되고 5분 이내에 원하는 이메일을 받지 못했다면 스팸 폴더나 재전송을 눌러 작업을 재시도하면 될 거예요.
확인 코드를 입력한 후 아래 [계속]을 누른 다음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번호를 입력하시면 Evernote에 로그인을 할 때마다 인증 코드 문자를 받을 수 있어 잠금 및 보안 상태를 강화하여 안전한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거예요.
여러 장치로 로그인을 하여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앱이기 때문에 일생생활 속에서 매우 요긴하고 유용하게 쓸 수 있어 좋지만 예기치 못한 위험한 상황도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고 2차 인증 단계를 사용하여 계정을 조금 더 철저하게 관리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겁니다.
부디 이 내용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상으로 에버노트 해킹 의심스러운 활동 대처하는 법에 관한 정보 포스팅을 마치겠고 유용한 정보가 되었다면 공감 하트(♥) 또는 공유 및 출처를 남기고 퍼가시는 것은 괜찮지만 무단으로 글을 복사 하는 것은 금해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