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프리랜서, 개인사업자(온/오프라인), 자영업자 등으로 활동하면서 소득이 생기면 신고 대상이 되어 5월에 종소세 신고 및 납부를 해야 되는데 처음 진행하게 된 분들은 어떻게 하는 건지 잘 몰라서 헤매거나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겁니다.

종소세는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종합소득이 발생한 사람들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하며 사업 활동을 통해 개인에게 귀속된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을 합산해서 과세하는 세금인 것인데요.
종합소득세의 신고기간은 5월 1일~5월 31일, 납부기한은 5월 31일까지로 정해져 있으니 해당 기간 내 신고 후 납부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필자의 경우 계속 소득이 발생하여 예전에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종목으로 사업자등록을 했었고 소득이 있어 매년 5월이 되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안내로 종소세 신고·납부의 전자문서를 받고 있는데요.
예전에는 납세자 본인이 이것저것 알아보면서 직접 계산하여 납부를 했었지만 몇 년 전부터 국세청에서 종합소득세와 개인지방소득세를 미리 계산하여 알려주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안내된 내용에 따라 확인해서 편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게 되어 좋아진 것 같아요.(전년 귀속 총 수입금액을 확인 후 세액 변동으로 수입금액, 공제금액 등을 수정하려면 수정사항 신고·납부방법을 참고해야 됨)
그렇지만 종소세 신고를 처음 진행하거나 어렵게 느껴지신 분들이 대신해서 작성해 주는 건 안되는 건지 궁금하실 수 있는데요.
본인 신분증 지참 후 세무서에 방문해서 직원의 도움을 받아 신고하는 건 가능하지만 본인의 소득이므로 세무서에서 신고서를 대신 작성해 주지 않는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종소세 신고를 어떻게 하면 되는지 구체적으로 궁금해질 수 있을 텐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정리하여 알려드릴 테니 확인해 보시면 도움 될 수 있을 거예요.
PC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국세청 홈택스'를 입력 후 찾으면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니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버튼을 만들어놓도록 할 테니 클릭해 보시면 될 거예요.

기본적으로 로그인을 해주셔야 이용할 수 있으니 공동·금융인증서, 간편인증(민간인증서), 아이디 로그인, 생체인증(얼굴·지문), 비회원 로그인 중에 선택해서 접속되도록 해줍니다.

로그인하면 저 같은 경우 모두채움(안내)를 받았었기 때문에 맞춤형 신고 안내(팝업) 창이 떴는데 '예(신고하기)'를 눌러서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종소세 신고는 기본사항>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신고서 제출을 해주시면 되는데 참고로 단순경비율 사업소득(3.3% 원천징수된 인적용역 포함). 근로·연금·기타소득이 있는 경우 작성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양식에 맞게 입력되어 있는 정보는 맞는지 확인을 하고 미입력란은 직접 작성을 해주시면 될 것이며 하단에 [저장 후 다음이동]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고요.
안내에 따라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신고를 마쳤다면 이후 종소세 납부까지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신고 및 납부까지 완료했다면 추가적인 작업으로 위택스 사이트로 이동하여 로그인해서 지방세도 별도로 신고와 납부를 해주셔야 된다는 점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ARS 전화 or 모바일 신고 방법
저와 같이 안내문을 받은 상태에서 세무서를 방문하는 방법을 제외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ARS 신고와 모바일 신고 이렇게 2가지가 있습니다.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진행하면 될 것이며 전자문서 형식으로 안내문을 받지 못했더라도 서면 안내문을 받게 되실 테니 확인해 보시면 되겠고 모두채움 안내자만 ARS 신고가 가능하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종소세 ARS 전화신고 방법
모두채움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의 ARS 전화신고 방법은 1544-9944번으로 전화를 하면 국세청 ARS 전화 신청 센터로 연결되는데 2번을 눌러 종합소득세를 선택한 다음 소득세 신고를 위해 1번을 눌러주세요.

이어서 개인인증번호(ARS 개별인증번호) 8자리를 입력 후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를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절차에 따라 진행하면 가상계좌를 문자로 받게 될 테니 은행코드 및 계좌번호를 입력해서 납부를 해주시면 돼요.(개인지방소득세는 별도의 신고 없이 납부할 수 있음)
모바일 종소세 신고 방법
모두채움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의 모바일 신고 방법은 손택스 앱을 이용해서 신고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데요.

국세청을 통해 전자문서로 받은 안내문을 확인해 보면 [모바일 신고] 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니 터치해 보시고 이어진 화면은 국세청 홈택스[손택스]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올 테니 [설치]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빠른 이동을 원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이므로 위에 손택스 앱을 설치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을 만들어드릴 테니 진입하여 설치를 해주시면 될 거예요.
설치가 완료되면 [열기]를 눌러 앱을 실행하시고 이용 권한을 허용하면 앱 설명 화면이 나오는데 [건너뛰기]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로그인이 필요한 화면이니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한다고 나올 것이므로 [확인]을 눌러주시고 손택스 통합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이디가 없을 경우 회원가입을 해주시면 되고 다른 로그인 방법으로는 공동·간편·금융인증서와 지문인증이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접속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로그인되면 신고 양식으로 모두채움/단순경비율 정기신고 화면이 나오게 될 텐데 기본정보입력으로 틀린 게 없는지 확인하고 연락처를 입력한 후 화면을 내려보면 신고안내자료 요약이 나올 테니 확인을 해보세요.
필자의 경우 종합소득금액의 '세부내역'을 눌러보니 2024년 1월에 사업장현황신고를 했던 소득금액을 볼 수 있었고 필요경비로 13,642,040원이 빠져서 총 사업소득이 7,640,395원이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거기에다가 소득공제 중 본인 공제로 1,500,000원, 일반 소득공제로 1,671,180원이 빠지면서 과세표준은 4,469,215원이 되었고 이에 대한 산출세액이 268,152원이 된 상태에서 세액공제 90,000원이 더 빠지게 되어 결정세액은 178,152원이 나온 걸 볼 수 있었어요.

만약 사실과 다를 경우 신고서를 수정해서 제출하시면 되고 확인했을 때 환급받을 세금이 있을 경우 납부(환급)할 총 세액에 표시된 금액 앞에 마이너스(-)가 표시된 걸 볼 수 있으니 환급받을 계좌를 입력하고 동의 및 제출하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상 없다면 동의 항목에 체크한 다음 [신고서 제출하기]를 눌러주시면 되고 수정없이 바로 제출 하겠냐고 물어볼 테니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어서 접수증을 확인한 후 [신고내역]으로 이동하면 작성한 신고서, 납부서, 제출된 첨부서류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나올 것이며 다음 화면에서 종합소득세 신고자는 반드시 개인지방소득세도 별도로 신고해야 된다고 나올 겁니다.
그러니 손택스 앱에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로 들어간 다음 기타 조회 중 종합소득세 신고내역 조회 옆에 [바로가기]를 눌러주시고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를 눌러 종소세 납부를 해주시면 돼요.
참고로 모바일에서 손택스 앱을 이용하여 납부를 진행하게 될 때에는 '모바일지로'라는 앱을 추가로 설치해야 된다는 점 알려드리겠고요.
종소세 납부 후에는 지방소득세 신고를 해주시면 되는데 마찬가지 위택스 앱에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로 들어간 다음 기타 조회 중 종합소득세 신고내역 조회 옆 [바로가기]를 눌러주시고 [조회하기]를 누릅니다.

조회 결과로 맨 밑에 [개인지방소득세 신고 이동]이 있으니 눌러 주시고 안내에 따라 진행하시면 되니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을 거예요.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와 관련된 내용으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국세상담센터 대표전화 ☎126번으로 전화를 해서 물어보시면 되는데요.
안내 음성이 들리면 종합소득세 0번을 눌러주시고 상담원과 연결되었을 때 문의를 해보시면 자세한 답변을 들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근무/상담시간은 월~금 09:00~18:00까지 공휴일 제외)
아무쪼록 이 내용을 읽고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하트(♥) 부탁드리며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와 꿀팁을 정리하여 알려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