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이번 시간은 아이폰 해킹 알림으로 웹 또는 캘린더, 문자 메시지(SMS)에서 해킹 관련 내용을 보게 됐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한 정보성 포스팅을 준비했는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해킹 알림을 알리는 팝업이나 문자를 받게 되어 당황스러운 적이 있을 겁니다.

 

 

 

 

이럴 때 빠르게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금전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될까봐 불안하고 경황이 없을 수 있는데 이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이용하여 스미싱, 파밍, 스팸, 피싱 등 전자금융 사기의 늪에 빠뜨릴 수 있으니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조심할 필요가 있을 거예요.

 

아이폰은 연락처, 사진, 금융정보 등이 보안적인 부분에 있어 강화된 상태로 잘 관리되고 있지만 워낙 다양한 수법으로 접근하여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조급함을 느끼게 만들어 결국에는 당하고 마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데 그런 의미에서 아이폰 해킹 알림을 알리는 내용을 보게 됐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되는지 정리하여 알려드릴 테니 이 포스팅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스미싱: 문자 메시지(SMS)와 피싱의 합성어를 의미하며 문자를 이용해 웹사이트 링크, 쿠폰, 초대장 등의 형식으로 관심을 갖게 하여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다른 휴대폰으로 바이러스를 확장시키는 해킹 기법

 

파밍: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용자 PC를 조작하여 실제 운영되는 사이트를 동일하게 꾸며서 가짜 사이트에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유도해서 금융정보를 빼내는 사기 수법

 

스팸: 불특정 다수에게 무차별적으로 발송하는 홍보성 목적의 불필요한 편지 또는 문자 메시지

 

피싱: 개인정보와 낚시의 합성어로 전자 우편이나 메신저를 통해 믿을 만한 사람이나 기업(기관)에서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와 같이 기밀을 유지해야 되는 정보를 부정하게 얻어내려는 수법

 

 

 

 

해킹을 알리는 팝업이나 문자를 보게 됐을 때 대부분은 낚시성 내용이거나 개인정보를 빼내려는 의도가 다분할 수 있으니 이런 화면이 떴을 때 무심결에 눌러보지 마시고 인터넷 검색이나 관련 기관에 전화를 해서 자세히 알아본 후 그에 따른 대처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해보시는 게 안전할 거예요.(관련 기관을 모르겠을 땐 한국 인터넷 진흥원 또는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지킴이를 이용해볼 것)

 

 

ⓒ모나리자> 이미지 출처: Apple iPhone

 

 

몇몇 알림의 경우 특정 사이트에 들어갔을 때 갑자기 바이러스 감염을 알리는 팝업이 뜨게 되고 터치를 하면 악성코드가 핸드폰에 설치되어 통신과금 서비스인 소액결제로 비용이 지불되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의 금융정보를 알아내서 피해를 입힐 수도 있고 바이러스 감염 및 손상에 대해 알리면서 혼란스럽게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당황하지 말고 뒤로 가기를 여러 번 눌러서 전 단계로 돌아가거나 상단에 X 표시를 눌러서 창을 닫으면 문제가 생길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런 류의 심각성을 알리는 알림은 전자금융 사기 및 스미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는데 무심코 눌렀다가 생각지 못한 큰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으니 각별히 조심하셔야 될 거예요.

 

728x90

 

특히 출처를 알 수 없는 미확인 문자 메시지에서 링크를 따라 이동하거나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은 허용하지 말고 웬만하면 설치하지 않는 게 좋을 것이며, 안전한 핸드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검증된 백신 앱을 설치하여 검사 및 관리가 꾸준히 유지되도록 신경 써주면 보안적인 면에서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거예요.

 

또한 교묘한 수법으로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동통신사에 소액결제가 제한되게끔 미리 신청을 해놓는 게 좋고 만약 애플 계정이 침해되었다고 생각된다면 즉시 암호를 변경하는 게 안전할 것입니다.

 

 

 

 

설정> 사용자 이름> 암호 및 보안 탭을 누르고 [암호 변경]을 선택한 다음 현재 암호 또는 기기 암호를 입력해 주시고 새로운 암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변경을 눌러 저장하면 패스워드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거예요.

 

다른 경우로 애플을 사칭한 것 같은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받은 분들도 있을 텐데 이럴 땐 스크린샷에 캡처 후 이메일에 첨부한 상태에서 reportphishing@apple.com으로 보내면 조치를 취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알고 게실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기기에서 원치 않는 전화번호, 연락처 및 이메일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데 정체를 알 수 없는 발신자에게서 의심스러운 메시지 내용을 전달받았을 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발신자를 깔끔하게 차단시킬 수 있으니 참고하면 될 거예요.

 

만약 이런 일에 휘말린 것 같다면 가장 확실한 방법이 공장초기화로 알려져 있지만 백업 및 초기화 과정이 번거롭고 귀찮게 느껴진 분들은 최근에 설치한 앱 또는 문자, 메일 등을 자세히 살펴봐서 삭제하는 게 좋을 것이며,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울 것 같을 땐 애플의 공식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아이폰 상태 점검 및 자가진단을 요청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아이폰 해킹 알림 또는 문자로 인하여 신경 쓰이고 불안한 분들을 위해 대처 및 해결 방법을 몇 가지 알려드린 포스팅을 마치겠으며, 부디 이 포스팅이 알차고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겠고 앞으로도 도움 되는 최신 소식을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도록 할게요.

 

공감 하트(♥) 또는 SNS 등 다른 채널에 공유하거나 퍼가는 것은 괜찮지만 무단으로 허락 없이 내용이나 사진을 복사하여 사용할 경우 적법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니 이런 부분은 주의해 주시고 보답해 준 분들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728x90